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위해 매일 정진하는 직장인, 아아입니다.
오늘은 이번 제 연말정산을 캐리해준 캐리머신 연금저축과 IR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면 바로 설명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먼저 연금저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연금저축이란 만 55세까지 투자하여 절세를 할 수있는 상품들을 이르는 말로 총 3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이 중에서 ETF로 직접투자가 가능한 연금저축펀드를 추천합니다.
꿀팁으로 기존에 연금저축보험이나 신탁 있으신 분들은 해지할 필요없이 연금저축펀드로 옮길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실제로 저도 회사 복지로 연금저축보험을 들어주는데 나중에 경제적 자유를 이룬 이후에 퇴사하면 연금저축펀드로 옮길 예정입니다.
연금저축의 장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연말정산 절세 가능.
아래 표를 보시면 연금저축류 상품을 들 때, 연말정산시에 얼마나 환급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적혀있습니다.
최대 66만원인데 세액공제(내야될 세금에서 바로 깍아버림) 비율, 16.5% 입니다. 말도 안되게 높습니다. 하지만 근로소득이 5500만원 이하만 해당하군요. 전 해당안되서 너무 슬픕니다.
저와 같은 CASE도 실망할 필요 없습니다. 무려 13.2% 세액 공제를 해주니까요. 참고로 제 투자 목표 수익율이 10% 입니다. 무엇보다 여기서 끝이 아니라 연금저축 펀드를 이용시, 연금저축 계좌 내에서 실제로 ETF 투자가 가능합니다. (세액공제 한도는 400만원입니다.)
2. 과세이연 및 절세
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과세이연은 엄청 큽니다. 왜냐면 주식은 복리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자소득에 관해서 15.4% 를 과세합니다.
반면에 연금저축 계좌는 만55세까지 버텨서 출금하면 연금소득세율 (3.3%~5.5%)를 적용하기에 훨씬 저렴합니다. (물론 연금저축에서 연금저축 세율로 인출가능한 금액은 연 1200만원 제한이 걸려있습니다.)
또 단점으로 만 55세까지 묵혀놔야 되고 만약에 중간에 인출하면 바로 세금 때리고 그동안 받았던 환급금액 뱉어야합니다. 때문에 여기 넣으면 없는 돈이 되어버립니다. 저 같은 경운엔 앞으로 대략 30년.... 원래 투자는 멀리보고 하는거니까요.
IRP는 기본적으로 퇴직금을 관리하는 계좌로서 만 55세 이후 연금 형식으로 운용이 가능한 계좌입니다. 골자는 연금저축과 같지만 만든 이유는 퇴직금을 한방에 날려버리는 도박의 민족 특성을 최대한 억제하고자입니다.
여기서 헛갈리실 만한 부분이 세액공제 한도입니다. CASE1,2,3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CASE1 (추천!!!)
연금저축 400 + IRP 300입니다.
연금저축 한도가 400이기 때문에 이 경우 합계 700만원 풀로 받을 수 있습니다.
CASE2
연금저축 300 + IRP 400입니다.
이 경우, IRP는 700까지 세액공제이고,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가 400이므로 700만원 풀로 세액공제를 받습니다.
CASE3
연금저축 한도 500 + IRP 200 입니다.
이 경우,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를 넘겨버려서, 연금저축한도 400 + IRP 200으로 600만원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CASE 1을 추천하는 이유는 IRP는 연금저축과 다르게 ETF 투자시에 안전자산(일반적으로 채권 뜻함)을 30% 반드시 포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강제로 장투해야한다면 오랜기간 둘 시에 가장 효과적인 자산은 오랜 연구결과 당연스럽게도 주식으로 밝혀졌습니다. 때문에 저는 IRP와 연금저축계좌를 최대한 주식으로 꽉 채웠습니다. (이건 취향차이입니다.)
이 밖의 IRP의 장점은 연금저축과 똑.같.습.니.다
(다만 IRP는 퇴직금 계좌가 원래 목표였으므로 직장 퇴직시에 퇴직금을 수령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저는 작년에 700만원 한도로 꽉채워서 넣었습니다. FIRE 운동 맹신자로서 돈을 많이 쓰지도 않는데 독신에다가 결혼도 안하고 부양가족도 없어서 세금 폭탄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여러분은 이거 투자하기전에 만55세까지 못빼는걸 반드시 명심하셔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RP와 연금저축을 잘 활용하면 절세를 하기 굉장히 유용한 수단이기에 여러분에게 꼭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러면 모든 투자자들이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것을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TF,ETN 에 대해 알아보자! (결론: ETN 사지마세요!!!!!) (0) | 2021.02.06 |
---|---|
Buy American. I AM - 전문 해석 및 감상 (1) | 2021.02.04 |
전 세계 1등 운용사 블랙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2.03 |
FIRE 운동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1.02.03 |
버크셔 해서웨이 - 20년 주주총회를 보면서 (0) | 2020.05.08 |